NEWS
Latest News
Stay updated with the latest news and event on RIZON
Developers’ Journal
프라이데이 합의 메커니즘(Friday consensus mechanism) 훑어보기
Jul 1st, 2020
우리는 합의 알고리즘(algorithm) 보다는 합의 메커니즘(mechanis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조금 더 좋아합니다. 탈중앙화 플랫폼에서의 “합의”라는 것은 하나의 알고리즘이라기 보다는 여러 알고리즘이 포함된 하나의 체계(system)이거나 구조(mechanism)로 바라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프라이데이 합의 메커니즘이 어떤 방향을 바라보고 만들어지고 있는지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물론 계속되는 실험과 연구에 의해 계속 조금씩 방향이 바뀌게 될 테고, 어쩌면 커다란 변화를 받아들여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지금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방향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언제나 의미 있을 거라고 기대합니다.
탈중앙화 플랫폼의 트릴레마
탈중앙화 합의 메커니즘에는 이미 잘 알려진 트릴레마(trillema)가 있습니다. 이 트릴레마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확장성(scalability), 보안성(security), 탈중앙화(decentralization)을 동시에 달성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가고자 하는 방향을 정하고 그 목표에 적합한 지점을 찾아 볼 수는 있습니다. 또한 동시에 달성할 수는 없어도 계속된 연구 개발을 통해 각각을 향상 시킬 수는 있습니다.
우리가 가고자 하는 방향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성이 문제가 된 몇 번의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 이후에 새롭게 등장한 많은 플랫폼들은 TPS로 대변되는 throughput을 내세워 궁극의 확장성을 내세우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확장성이 의미를 가지려면 현재 플랫폼의 처리 성능이 문제가 될 만큼 정말로 많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당장 의미가 없는 처리 성능의 향상을 위해 다른 부분을 희생시키기 보다는 다른 부분과의 적절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부분을 찾고자 합니다. 물론 확장성 또한 부족하지 않도록 계속 고민하며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많은 고민과 논의 후에 우리는 우선 몇 가지 목표에 집중하기로 하였습니다.
-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비교적 짧은 블록 생성 시간 (blocktime)
- 처리 완료 시간을 줄이기 위한 실시간에 가까운 완결성 (near-instant finality)
이 두 가지 항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확장성과 완결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뤄야 합니다. 또한 우선순위에서 조금은 뒤쳐지지만 확장성을 희생하지 않고 더 나은 탈중앙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목표에 대한 연구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더 많은 검증자(validator) 참여를 위한 무작위성(randomness) 적용
- 영향력(voting power) 집중을 막고 위임(delegation)의 고른 분산을 유도할 수 있는 보상 체계
합의 메커니즘 설계의 어려움
합의 메커니즘을 새로 설계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모든 매개변수(parameter)가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한 부분을 수정하길 원하면 그 부분이 영향을 미치는 다른 부분을 모두 검토하고 고민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예외 상황에 의해 언제든 멈출 수 있는 불안정한 상태가 됩니다. 이론적인 부분에 대한 고민도 매우 어렵지만 실제 전세계의 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가지 실험도 수행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처리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합의 매커니즘을 설계하고 그 합의 메커니즘을 적용한 플랫폼이 멈추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한다는 확신을 갖기 위해서는 상당히 오랜 시간의 검증이 필요합니다. 다행히도 전체를 한꺼번에 적용할 필요 없이 일부분을 분리해서 따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조금씩 변경해 나갈 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너무 서두르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테스트넷에 적용하여 실험하고 안정화 한 후에 메인넷에 적용해 나갈 계획입니다.
합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야깃거리
합의 메커니즘과 관련해서는 다음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해 볼 예정입니다. 이 외에도 개발하는 중간 중간 흥미로운 이야깃거리가 생길 때마다 시간을 내서 함께 얘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Friday consensus mechanism의 전체적인 구조와 흐름
- PBFT 와 FBFT, HotStuff — mesh communication network 와 star communcation network의 비교 그리고 우리의 선택
- VRF 와 BLS signature 의 적용
- DAG 으로의 확장 가능성
더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 드립니다.